두나무(Dunamu) 관련주 11종목
반응형
두나무(Dunamu)의 관련주에는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대성창투, 바른손, 신성이엔지, 에이티넘인베스트, 우리기술투자, 카카오, 코오롱, 코오롱인더, 한화투자증권이 있으며, 해당 관련주의 기업정보 및 주식차트를 정리하였습니다.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매수타이밍과 매도타이밍을 예측해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주식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 키움증권 조건검색기 바로가기👇
순위 | 종목명 | 시가총액 | PER | EPS | PBR | 이익잉여금 |
1 | DSC인베스트먼트 | 976 | 6.13 | 573 | 1.04 | 744 |
2 | TS인베스트먼트 | 579 | 6.74 | 207 | 0.78 | 390 |
3 | 대성창투 | 1,030 | 100.37 | 19 | 1.37 | 322 |
4 | 바른손 | 615 | -2.36 | -729 | 1.03 | -868 |
5 | 신성이엔지 | 4,302 | 12.44 | 168 | 2.02 | -589 |
6 | 에이티넘인베스트 | 1,577 | 5.48 | 600 | 0.92 | 1,417 |
7 | 우리기술투자 | 7,073 | -2.03 | -4,210 | 1.64 | 3,484 |
8 | 카카오 | 259,879 | 18.8 | 3,106 | 2.55 | 30,465 |
9 | 코오롱 | 2,259 | 1.79 | 10,012 | 0.23 | 5,540 |
10 | 코오롱인더 | 11,310 | 6.93 | 5,934 | 0.43 | 15,258 |
11 | 한화투자증권 | 9,569 | -18.15 | -251 | 0.61 | 711 |
두나무(Dunamu) 관련주 11종목 총정리
1. DSC인베스트먼트(두나무 관련주)
기업개요
- 2012년 1월 설립된 동사는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 회사임.
- 투자조합 등의 결성을 통해 업무집행조합원으로서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조합자금의 투자집행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투자를 주력으로 하고 있음.
- 당분기말 현재 동사가 운영중인 투자조합은 총 20개로 운영자산(AUM) 기준 1조 617억원을 기록하고 있음. 연결대상 자회사로는 슈미트(창업 엑셀러레이팅)과 똑똑(정보시스템 구축)이 있음.
기업실적
- 2023년 3분기 누적 연결기준 영업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35% 감소, 영업이익은 58% 감소, 당기순이익은 56.1% 감소함.
-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이 늘었으나, 투자조합과 자회사로부터 발생하는 지분법손익과 성과보수가 크게 줄어듦에 따라 3분기 누적 영업수익과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대폭 감소함.
- 엑셀러레이터이자 TIPS 운용사인 자회사 슈미트와 협업하여 Seed 단계의 기업에 선투자를 진행하고 있음.
2. TS인베스트먼트(두나무 수혜주)
기업개요
- 2008년 설립된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로서 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창업투자조합 결성 및 운용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 구조조정전문회사에서 창업투자회사로 전환 후 지속적으로 중소벤처 M&A펀드를 결성, 운용하며 전문성을 확보함.
- 2019년 4월 스타트업 전문 투자회사인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를 인수함. 9월말 현재 동사와 종속회사가 운용 중인 투자조합은 17개임. 동사의 누적 투자조합 결성 실적은 총 13개 9,542억원임.
기업실적
- 2023년 3분기 누적 연결기준 영업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14.1% 감소, 영업이익은 25.4% 감소함.
- 전환사채 관련 파생상품평가이익이 19억원 가량 발생하였으나, 투자조합에서 발생하는 성과보수와 지분법손익이 큰 폭으로 줄어듦에 따라 상반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함.
- 최근 건강음료 전문기업 티젠에 투자했던 펀드를 청산함(내부수익률 26.5%). 15호 스케일업펀드를 결성했으며, 16호 M&A펀드 조성을 진행 중임.
3. 대성창투(두나무 테마주)
기업개요
- 대성창투는 벤처캐피탈의 도입초기였던 1987년에 설립되어 중소기업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와 창업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의 집행 등을 주 업무로 하고 있음.
- 2010년 3월 사명을 대성창업투자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으며 부품소재, 에너지, 환경, ICT산업 및 문화콘텐츠 등에 특화함.
- 2019년에 투자한 기업인 웹케시, 이노테라피, 수젠텍, 캐리소프트가 코스닥 상장되었으며, 2020년에는 젠큐릭스가 코스닥 시장에 이전상장되었음.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7.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91.8% 감소.
- 주요 영업수익은 투자 및 투자조합 관련으로 전체수익의 약 81.5%에 해당되며 현재 운용중인 조합은 총 14개이나 관련 시장이 침체되어 수익 회복이 되지 못하고 있음.
- 현재 벤처투자조합 및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 포함하여 3,726억원을 운용중이며 향후 PEF 운용기관으로의 도약을 준비 중에 있음.
👇 주제별 테마주 바로가기👇
4. 바른손(두나무 수혜주)
기업개요
- 바른손은 영화, 뷰티, 외식 사업 등을 영위함. 영화 부문은 영화제작 및 투자, 뷰티 부문은 화장품 유통업 등 관련사업, 외식 및 기타 부문은 음식료품 제조판매업, 홈인테리어 도소매업, 시설경비업 등으로 구성됨.
- 2019년 개봉한 영화 '기생충'에 투자하며 이름을 알렸음.
- 주요 사업은 화장품 유통업으로 북미, 남미, 유럽, 동남아시아 등 전 세계에 한국 화장품을 직접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 감소, 영업손실은 30.1% 감소, 당기순손실은 39.5% 감소.
- 바른손은 2023년 11월 블록체인 기술 기업 이큐비알홀딩스와 영화를 기반으로 한 토큰증권발행(STO)을 국내외 사업과 영화 STO 상품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음.
- 영화 ST 발행을 위해 혁신금융서비스를 금융위에 신청했으며, 영화 제작 과정에서 자금흐름을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 크레이드를 출시했음.
5. 신성이엔지(두나무 테마주)
기업개요
- 신성이엔지는 FFU/EFU, 클린룸 및 공조시스템, 드라이룸 등 제조, 설치공사을 영위하는 클린환경 사업부문 그리고 태양광 관련 제품, 시스템 및 상품을 영위하는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을 보유함.
- 또한 임대, 용역, 서비스를 영위하는 기타 사업부문이 있음. 2019년부터 일상의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퓨어루미(조명일체 천정형 공기청정기), 퓨어게이트(공동주택용 에어샤워) 등을 개발하여 판매.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2% 감소, 영업이익은 84.1% 감소, 당기순이익은 46.6% 증가.
- 정부의 신재생 에너지 예산 확보가 확실시 되지 않고 태양광 산업의 수요 또한 감소하여 동사의 영업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반도체 사업의 침체로 국내 주요 프로젝트 공사와 투자가 지연되었지만 동사의 반도체 클린룸이 국내 고객사 중심에서 해외 고객사로의 확장하여 실적 개선이 예상됨.
6. 에이티넘인베스트(두나무 관련주)
기업개요
- 설립 이후 다양한 국내외 경제 및 산업구조의 변화흐름 속에서도 약 413여개의 기업에 투자하여 대한민국 중소, 벤처기업 육성과 펀드 운용 수익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꾸준하게 달성함. 27개 투자조합을 결성하고 22개 조합을 성공적으로 청산한 경험을 보유함.
-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매년 실시하는 창업투자회사 평가가 실시된 이래 연속하여 최우수등급을 획득하여 운용 성과뿐만 아니라 투명성, 위험 관리 등의 우수성을 증명함.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3.3% 감소, 영업이익은 72.5% 감소, 당기순이익은 70.6% 감소.
- 에이티넘인베스트의 당분기말 영업수익은 521억원이며, 전분기 대비 운영조합 성과보수 선 수령분이 감소하였으며, 매도가능증권 일부 평가손실이 반영되었음.
- 8000억원 규모의 ‘에이티넘성장투자조합2023’ 벤처펀드를 결성했음. 국내 벤처캐피탈 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펀드를 결성하게 되었음.
👇 키움증권 조건검색기 바로가기👇
7. 우리기술투자(두나무 수혜주)
기업개요
-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신기술사업금융업, 시설대여업 및 할부금융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설립후 국내 벤처산업 전반(정보통신, 반도체, 소프트웨어, 바이오, 환경등)에 걸친 꾸준한 투자활동으로 1998년 부터 2007년까지 평균 납입자본수익률이 25%를 상회하며 성장해왔음.
- 스톤브릿지디지털PEF의 인크로스 일부 매각을 통한 이익 배분과 장기 부실채권의 회수를 진행하였음.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8.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전 사업부문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원가율 대폭 감소로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흑자로 전환됨.
- 국내외 경기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혁신이 가능한 벤처기업에 대한 발굴과 투자는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시장 상황의 변화에 유연한 대응 속에서 수익 창출의 기회를 모색중임.
8. 카카오(두나무 주도주)
기업개요
-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게임, 뮤직,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
- 이동의 혁신을 가져오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 금융습관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카카오페이에 투자하고 있음.
-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카카오픽코마, 에스엠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콘텐츠 사업에 대한 역량 역시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1위 유료 콘텐츠 플랫폼으로 도약함.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5% 증가, 영업이익은 32.3% 감소, 당기순이익은 88.6% 감소.
- 내년 자원 재배치 효과와 AI 관련 투자 증분 부담이 경감되며 이익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 카카오모빌리티는 전 부문의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보였으며 택시 부문은 수요가 위축됐지만 서비스 운영 고도화로 성장을 보였고, 주차 부문은 연동 주차장 공급 확대와 주차패스 가입자 증가 등으로 성장을 이어감.
9. 코오롱(두나무 테마주)
기업개요
- 코오롱은 1957년 설립되어 1975년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했으며, 2009년말 인적분할하여 주요 사업부문을 코오롱인더스트리로 포괄이전하고 투자사업과 임대사업만을 전담하는 지주회사임.
- 주된 사업은 자회사의 사업내용 경영지도/정리/육성하는 지주사업, 브랜드 상표권 등 지적재산권의 라이센스 사업, 부동산, 각종 용역사업 등.
- 연결대상 종속법인으로 코오롱글로벌, 코오롱베니트, 코오롱제약 등 5개 주요 종속회사를 포함한 23개사를 보유함.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 증가, 영업이익은 53.5% 감소, 당기순이익은 77.8% 감소.
- 전년 동기 수준을 상회하는 매출을 기록하였으나, 건설부문의 레미콘 및 아스콘 가격 상승등의 여파로 수익성은 상당히 큰 폭으로 하락한 모습.
- 전체 매출의 약 50% 육박하는 유통사업부문의 지속적인 성장 여부가 동사 실적 상승세 지속의 열쇠가 될 것으로 판단됨.
반응형
👇 주제별 테마주 바로가기👇
10. 코오롱인더(두나무 관련주)
기업개요
- 코오롱인더는 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임. 2010년 2월 1일자로 상장되어 유가증권시장에서 매매가 개시됨.
- 코오롱인더 및 주요종속회사의 사업은 산업자재군, 화학소재군,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 기타사업군으로 구성되어 있음.
- 다양한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어 경기변동에 대응하기 비교적 용이해 특정 사업영역을 주로 영위하고 있는 회사들에 비해 안정적인 실적을 보임.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 감소, 영업이익은 42.7% 감소, 당기순이익은 66.4% 감소.
- 다양한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다 보니 경기변화에 대해 유동적으로 대처하기가 용이하나 회사 사업구조가 복잡해 전망을 추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 화학소재군 건자재 사업 철수로 인하여, 2023년 1분기부터 해당 제품이 시장점유율 산정에서 제외됨.
11. 한화투자증권(두나무 테마주)
기업개요
- 한화투자증권은 매매, 위탁매매, 집합투자업, 투자자문/일임업, 신탁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현재 한화자산운용이 최대주주(지분율 46.08%)임.
- 당분기말 현재 본점 이외에 42개 지점이 있으며, 종속회사로 PineTree증권(베트남/싱가포르), ZHARYK ZHOL(카자흐스탄,부동산투자) 등이 있음.
- 2019년 7월 1천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기자본 규모 1조원 이상의 중대형사가 되었음.
기업실적
- 3분기에는 자산관리 및 트레이딩 부문이 시장거래대금 증가와 변동성 확대에 따라 전년동기 대비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으나, IB부문은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 및 보수적 투자 결정 등으로 수익성이 저하됨.
- 사모펀드 사적화해 등을 반영한 충당금을 294억원 추가 설정하면서 3분기 당기순손실이 늘어남. 토스뱅크를 비롯한 제휴채널 확대를 통해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고 인도네시아 진출 등 글로벌 사업영역을 확대해 실적 개선에 나선다는 계획임.
개인적인 생각 및 요약
주가의 흐름은 5일선 20일선 60일선 골든크로스 하였을때 가장 힘이 강하고 급등할 확률이 높습니다. 항상 차트를 주시하시고, 그날 시장의 대장주가 무엇인지 비슷한 테마를 확인해 보면서 매매를 하시면 좋습니다.
글쓴이는 전문가는 아니며, 글에 대한 견해는 매우 주관적입니다. 단순히 차트 만을 보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주식 시장의 이해와는 무관합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항상 투자금을 지키는 매매를 하세요.
다음글과 함께하면 더 좋은 수익을 낼수 있습니다.
👇 테마주 찾는법 보러가기 👇
👇 키움증권 조건검색기 바로가기👇
👇 주제별 테마주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전주 12종목 정리 2024 | 테마주 | 수혜주 (0) | 2024.02.19 |
---|---|
원격진료 관련주 9종목 정리 2024 | 테마주 | 수혜주 (2) | 2024.02.18 |
재난 재해 지진 관련주 11종목 | 테마주 | 수혜주 (0) | 2024.01.02 |
조림사업 관련주 11종목 | 테마주 | 수혜 (1) | 2024.01.02 |
김치코인이란 무엇인가? 김치코인 종류 장단점 구별법 2024 (2) | 2023.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