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9종목 2023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에는 녹십자, 동아쏘시오홀딩스, 메디포스트, 메디프론, 메지온, 씨티씨바이오, 유한양행,한미약품, 헬릭스미스를 선별하였습니다.해당 관련주의 기업실적, 기업분석 및 주식차트를 정리하였으며, 해당 주식 차트를 기반하여 매수타이밍과 매도타이밍을 예측해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주식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순위 | 종목명 | 시가총액 | PER | EPS | PBR | 이익잉여금 |
1 | 녹십자 | 15,391 | 12.2 | 10,796 | 1.18 | 9,035 |
2 | 동아쏘시오홀딩스 | 5,282 | 8.52 | 9,768 | 0.54 | 7,115 |
3 | 메디포스트 | 2,431 | -370 | -43 | 1.51 | -419 |
4 | 메디프론 | 660 | -9.12 | -159 | 1.45 | -604 |
5 | 메지온 | 4,517 | -33.12 | -510 | 7.17 | -1,111 |
6 | 씨티씨바이오 | 2,479 | -32.52 | -329 | 2.82 | -325 |
7 | 유한양행 | 42,688 | 38.92 | 1,431 | 2.06 | 19,024 |
8 | 한미약품 | 40,827 | 60.35 | 5,385 | 5.04 | 4,523 |
9 | 헬릭스미스 | 3,636 | -6.78 | -1,352 | 1.46 | -3,974 |
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9종목 총정리
1. 녹십자(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기업개요
- 녹시자는 혈액제제와 백신제제를 비롯해 전문의약품, OTC제제 등의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제약사로, 1969년 설립되어 1989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 녹십자의 사업 품목은 혈액제제, 백신제제,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등이 종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거래처는 종합병원, 의원, 시약도매상, 약국, 적십자 등임.
- 녹십자는 핵심사업으로서 혈액제제, 백신제제, 유전자재조합제제의 대형 수출품목 육성과 신규 시장 개척을 목표로 함.
기업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5% 증가, 영업이익은 18.4% 증가, 당기순이익은 20.5% 감소.
- 혈액제제와 백신제제 이외에도 Recombinant제제의 주요 프로젝트인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는 중국과 일본에서 허가를 획득하였음.
- 독감백신의 경우 기존 3가백신에서 4가백신으로의 전환 트렌드에 발 빠른 대응으로 매출 및 수익 증진에 기여하고 있음.
2. 동아쏘시오홀딩스(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기업개요
-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지배회사로 전략적인 영업단위인 '지주사', '일반의약품 및 의약외품', '바이오시밀러 및 위탁의약품', '물류', '포장용기', '기타'의 보고부문을 가지고 있음.
- 제약 부문의 품목으로는 박카스, 판피린, 가그린 등이 있으며 물류 부문은 배송, 우송, 국제포워딩 등이 있음.
- 운송부문의 판매경로는 3PL국제영업부와 운송영업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본사 직할, 지역별 사업부 및 담당DC를 통한 직접 판매를 원칙으로 함.
기업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3% 증가, 영업이익은 21.2% 감소, 당기순이익은 61% 감소.
- 제약부문 주요 원재료인 박카스병, 판피린병은 약 8개 제병업체들이 경쟁중인 과점시장이나 계열회사인 수석으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이 가능.
- 물류정보시스템 개선 및 창고관리시스템 신규 도입 등을 통한 작업효율 향상과 함께 특화된 물류전문인력 양성을 통하여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3. 메디포스트(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기업개요
- 메디포스트는 2000년 설립되어 2005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제대혈 보관, 건강기능식품 판매,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국내 1위의 제대혈은행 사업자. R&D 파이프라인으로 무릎 퇴행성관절염 치료제 카티스템, 기관지폐이형성증 치료제 뉴모스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뉴로스템 등을 보유함.
-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MEDIPOST America와 이뮤니크를 보유. 메디포스트메디투어와 큐로닉스는 기중 청산 완료.
기업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8% 증가, 영업손실은 297.5% 증가, 당기순손실은 64.7% 감소.
- 제대혈은행 및 줄기세포치료제 매출, 건강기능식품 매출 등이 고르게 증가하여 전체 외형 확대됨. 다만 원가 상승 부담으로 영업손실 크게 확대.
- 카티스템으로 일본, 말레이시아 등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임상 및 품목허가 등 절차 진행중. 무릎관절염치료제 스멉셀은 국내 임상2상이 승인되고 미국 임상 추진중임.
4. 메디프론(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기업개요
- 메디프론은 1997년 3월 설립되었으며, 2003년 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메디프론은 게이밍 휠 등으로 특화한 유통사업과 포탈사이트 등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사업의 IT사업부문과 중추신경계 질병치료제를 개발하는 신약사업부문을 영위함.
- 혈액을 이용한 진단키트를 퀀타매트릭스와 공동연구개발 통해 2020년 7월 식약처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았으며, 현재는 신의료기술 인증평가를 준비중에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7.1%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 메디프론은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감소한 데다 판관비와 인건비 상승이 커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함. 이익률 악화, 영업외손익 감소로 당기순이익도 크게 감소함.
- 메디프론의 IT사업의 경우 쿠팡과 같은 소셜커머스 판매채널 확대, 제품 다변화와 대기업 제품이 커버하지 못하는 니치마켓 공략등을 통해 매출 성장을 이루고 있음.
5. 메지온(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기업개요
- 2002년 동아제약에서 동아팜텍으로 분사하여 2013년 현 상호로 변경하였으며 신약후보 물질의 도입, 개발, 기술이전 사업을 영위 중인 C&D업체임.
- 동아에스티 발기부전치료제 자이데나의 성분 유데나필의 북미와 러시아, 멕시코 특허 보유로 마일스톤과 국내의료기기 부문 매출이 주 수익원임.
- 발기부전증 및 전립선비대증, 발기부전증과 전립선비대증의 동시적응증, 폰탄수술 치료제 등의 용도로 유데나필의 임상 3상 진행 중에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4% 증가, 영업손실은 40.6% 증가, 당기순손실은 155.7% 증가.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해외시장의 변동으로 원재료가격 상승에 따라 판매가도 상승하여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그만큼 비용도 증가하였으므로 수익성이 감소하였음.
- 메지온은 특허권 양수도계약을 통하여 미국, 캐나다, 멕시코, 러시아 등 4개국에서 유데나필에 대해 관련된 모든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음.
6. 씨티씨바이오(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기업개요
- 1996년 설립된 동물약품, 인체약품, 사료첨가제 및 단미보조사료, 건강기능성식품 제조, 판매업체로 2002년 2월에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 씨티씨바이오는 미생물발효기술, 약물코팅기술, 약물전달기술등 다양한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접목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 씨티씨바이오의 매출구성은 인체약품군 약 55.72%, 동물약품군 약 44.28%로 구성되어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씨티씨바이오의 이익률이 높은 제품의 해외매출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꾸준한 성장성이 기대됨.
- 동물약품 사업은 항생제계와 비항생제계 품목의 고른 매출성장으로 지속적인 증가가 발생하고 있으며, AI의 발병에 대비한 소독제를 관납 및 사료회사 등에 유통하는 등 부가수익을 올리는 중.
7. 유한양행(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기업개요
- 유한양행은 1926년 6월에 설립되었으며 의약품, 화학약품, 공업약품, 수의약품, 생활용품 등의 제조 및 매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 유한양행의 주요 사업부문은 약품사업부문, 생활건강사업부문, 해외사업부문으로 이루어짐.
- 의약품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렉라자, 안티푸라민, 삐콤씨, 듀오웰, 코푸시럽 등이 있고 이외에도 에이즈치료제, C형간염치료제, 항생제 등을 수출사업에서 다루고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 증가, 영업이익은 57.8% 감소, 당기순이익은 32.7% 감소.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악화됨.
- 2021년 7월 국내에 출시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신약 '렉라자'를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시킴.
- 유한양행은 해외사업부문에서 새로운 파트너사를 발굴하기 위해 비대면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있음.
8. 한미약품(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기업개요
-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혈압치료제(아모디핀), 복합고혈압치료제(아모잘탄) 등이 있음.
-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한미정밀화학 및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를 주요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 및 얀센에 기술 이전한 비만치료제 HM12525A, NASH 치료제 HM15211 임상에 따른 파이프라인 경쟁력을 확보함.
기업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증가, 영업이익은 44.2% 증가, 당기순이익은 27.8% 증가.
- 복합고지혈증치료제 '로수젯',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에소메졸' 등이 주요제품으로 지속적인 수요에 따라 매출이 증가하고 있음.
- 해외쪽은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을 출시할 예정으로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는 한국 한미약품 주식회사와 R&D네트워크 시너지를 통해 글로벌 신약 개발을 진행중임.
9. 헬릭스미스(신약개발 기술수출 관련주)
기업개요
- 헬릭스미스는 1996년 서울대 학내 벤처로 설립되어 200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고, 2019년 바이로메드에서 헬릭스미스로 사명 변경함.
- 플라스미드 DNA 플랫폼을 이용한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신약 사업과 천연소재의 약효를 검증하는 천연물신약 사업을 영위함.
- 임상단계 파이프라인으로 DNA 기술 기반의 VM202(당뇨병성신경병증, 족부궤양, 루게릭병), VM206(유방암)과 재조합 단백질 기반의 VM501(혈소판감소증)이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1% 증가, 영업손실은 22.8% 증가, 당기순손실은 14% 증가.
- 천연물 관련 매출 및 연구용역 증가로 외형상 큰 폭의 매출 성장을 나타냈으나 큰 의미를 부여하기를 어려운 상황.
- 핵심 파이프라인인 당뇨병성신경병증 치료제 VM202는 미국 임상 3-1상 추적관찰 마무리하였으나 임상 오염으로 재임상(임상3상) 진행중임.
개인적인 생각 및 요약
- 해당 주식 차트는 키움증권에서 제공하는 키움증권조건검색, 강세약세패턴, 가격이동평균선 등을 활용하였습니다.
- 주가의 흐름은 5일선 20일선 60일선 골든크로스 하였을때 가장 힘이 강하고 급등할 확률이 높습니다. 항상 차트를 주시하시고, 그날 시장의 대장주가 무엇인지 비슷한 테마를 확인해 보면서 매매를 하시면 좋습니다.
- 글쓴이는 전문가는 아니며, 글에 대한 견해는 매우 주관적입니다. 단순히 차트 만을 보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주식 시장의 이해와는 무관합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항상 투자금을 지키는 매매를 하세요.
다음글과 함께하면 더 좋은 수익을 낼수 있습니다..
주식 테마주란? 테마주 쉽고 빠르게 찾는법(Feat.키움증권활용법)
코스피, 코스닥 시장 주도주 찾기 : 인기 주식 찾기 , 거래량 많은 주식 찾기
▼▼▼▼▼▼▼▼▼카카오채널 추가하시고 정보 받아가세요▼▼▼▼▼▼▼▼▼
카카오톡채널 - 주린이를위한주식정보 (kakao.com)
주린이를위한주식정보
주린이를위해주식정보나 기업정보 차트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pf.kakao.com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 의료기기 관련주 10종목 2023 테마주 수혜주 (0) | 2023.04.12 |
---|---|
테블릿PC 관련주 9종목 2023 테마주 (0) | 2023.04.11 |
국내 상장 중국기업 관련주 10종목 2023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0) | 2023.04.09 |
슈퍼박테리아 관련주 9종목 2023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1) | 2023.04.08 |
폐기물처리 관련주 9종목 2023 테마주 수혜주 (0) | 2023.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