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TOP9 주가 전망 테마주 수혜주
반응형
삼성 파운드리 관련주에는 동진쎄미켐, 어보브반도체, 에스앤에스텍, 원익IPS, 원익QnC, 코미코, 테스, 한미반도체, 네패스가 있으며, 해당 관련주의 기업정보와 주식차트를 정리하였습니다.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매수타이밍과 매도타이밍을 예측해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주식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 키움증권 조건검색기 만드는법 바로가기👇
순위 | 종목명 | 시가총액 | PER | EPS | PBR | 이익잉여금 |
1 | 네패스 | 4,750 | 6.06 | 3,399 | 1.88 | 665 |
2 | 동진쎄미켐 | 20,694 | 12.98 | 3,102 | 2.97 | 5,210 |
3 | 어보브반도체 | 3,057 | 22.32 | 770 | 2.34 | 938 |
4 | 에스앤에스텍 | 9,868 | 54.89 | 838 | 5.03 | 792 |
5 | 원익IPS | 17,228 | 18.93 | 1,854 | 1.93 | 5,213 |
6 | 원익QnC | 7,965 | 14.79 | 2,048 | 2.12 | 3,357 |
7 | 코미코 | 6,454 | 14.65 | 4,213 | 2.38 | 1,758 |
8 | 테스 | 4,052 | 7.95 | 2,580 | 1.17 | 2,894 |
9 | 한미반도체 | 96,074 | 105.11 | 939 | 24.63 | 3,253 |
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TOP9 2024
1. 네패스(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기업개요
- 반도체 및 전자관련 부품, 전자재료 및 화학제품 제조, 판매를 영위할 목적으로 1990년 설립된 이후, 1999년 12월 1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사업부문은 시스템 반도체의 소형화, 고성능화에 기여하는 후공정 파운드리 사업과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전자재료 사업으로 구분되어 있음. 수입에 의존하던 기능성 Chemical을 국산화하였으며, 내재화를 통한 신뢰성 검증으로 주요 고객 대상 신규 매출을 기대하고 있음.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2%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5.2% 감소. 2023년 11월 종속회사인 네패스라웨의 누적 손실로 인한 채무상환 여력 악화에 따라 지급보증인으로서 관련 채무를 인수(60,395,800,000원) 하였음. 2차전지용 부품을 국산화하여ESS, EV용 배터리에 적용, 급성장하는 에너지 분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2. 동진쎄미켐(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기업개요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 대체에너지용 재료와 발포제를 제조 판매함. 동진쎄미켐이 제조하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는 감광액, 반사방지막, SOC, 연마제, Wet Chemical, Colored Resist 등임. 2023.03 Dongjin Asia Holdings PTE.LTD. 에 USD3,300,000 추가 출자, 2023.09 DONGJIN USA INC 에 USD25,000,000 추가 출자하였음.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9% 감소, 영업이익은 11.7% 감소, 당기순이익은 22.6% 감소. 주요부문별로 보면 국내전자재료 사업부문은 전년동기 대비 2.17% 판매가 감소하였으며, 해외전자재료 사업부문도 전년동기 대비 15.17% 감소하였음. 3분기 현재 동진쎄미캠의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BOE Technology Group Co., Ltd., 에스케이하이닉스, 엘지디스플레이 등임.
3. 어보브반도체(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기업개요
- 비메모리 반도체 중 두뇌역할을 하는 반도체 칩인 Micro Controller Unit(MCU)를 설계, 생산하는 팹리스 회사임. 매출비중이 높은 기능별 제품은 Home Appliance이며 삼성전자 등 국내외 유수한 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고, Motor, Power제어 및 BLE SoC 제품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주요종속회사로 편입된 (주)윈팩을 통하여 반도체 후공정 패키징&테스트 외주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외형 확장을 위해 후공정(패키징, 테스트) 기업인 원팩 인수를 통해 후공정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기를 기대하여 매출 턴어라운드됨. RDL_WF + 150um GAL공법 적용한 F82 DDR5 플립칩 패키지 개발과 고용량 256GB(512GbX4) 임베디드 UFS_4.0 패키지 개발의 판관비 축소로 매출 증가함.
👇 주제별 테마주 바로가기👇
4. 에스앤에스텍(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기업개요
- 에스앤에스텍은 반도체 및 TFT LCD 생산에 쓰이는, 노광 공정의 핵심 재료인 포토마스크의 원재료로서 패턴이 노광되기 전 마스크인 블랭크 마스크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음. System LSI, LCD, OLED 등 국내 고부가가치 확대와 중국 패널업체 전방 산업 투자 확대에 대응하여 제품 및 고객 확대를 위해 노력 중. 블랭크마스크 상품이 매출의 98% 가량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패널업체 수요 확대를 위한 신규 공장을 증설함.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4% 증가, 영업이익은 58.6% 증가, 당기순이익은 48.1% 증가. 전년 동기대비 블랭크마스크는 해외 수출 부문에서 크게 성장하였음. 스마트기기와 반도체 시장의 성장으로 블랭크마스크 지속 외형 확대 예상. 시장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노광 기술을 위한 소재기술의 개발 및 양산화를 위해서 역량을 집중 중임.
👇 키움증권 조건검색기 만드는법 바로가기👇
5. 원익IPS(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기업개요
-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6년 5월 재상장, 분할 전 회사인 원익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반도체, Display 및 Solar 장비의 제조사업부문을 담당. 2019년 2월 원익테라세미콘 합병으로 국내 대형 장비 기업으로 도약함. 매출구성은 반도체 94%, 디스플레이 6%, 기타(장비 및 장치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 기술용역 등)로 이루어져 있음.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8%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반도체 부문에서 1000억, 디스플레이부문에서 1200억 가량의 매출 하락이 발생. 특히 디스플레이의 매출이 80% 이상 크게 하락함. 향후 디스플레이 수주 상승과 반도체 싸이클 회복에 의한 매출 회복 예상. 평택 진위3산업단지에 부지면적 2만2520㎡규모의 신사옥 준공. CAPA 2배 이상 증가 예정.
6. 원익QnC(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기업개요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석영제품(쿼츠)와 산업용 세라믹을 제조하는 업체로 2003년 11월 원익으로부터 기업분할로 설립됨. 사업부문은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 및 쿼츠원재료 등 5개이며, 쿼츠부문은 4개, 쿼츠원재료 부문은 9개, 세정부문은 2개의 해외 종속기업을 포함하고 있음. 2020년 미국의 반도체용 소재 전문회사인 모멘티브사의 쿼츠/세라믹 부문 4개사를 인수함. 2022년 11월 일본 쿠러스텍을 인수함.
기업실적
- 반도체 수요 둔화 영향으로 쿼츠와 세정, 세라믹 부문의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이 감소함. 자회사 모멘티브는 가격 인상 효과와 쿠어스텍(지분 100%) 인수 효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연초부터 지속 감소해왔던 쿼츠 제품 주문이 최대 고객사인 북미 장비 고객사를 중심으로 6월경부터 증가하기 시작함. TSMC 공급 확대를 위한 대만 증설이 12월에 완료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내년부터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주제별 테마주 바로가기👇
7. 코미코(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기업개요
- 코미코는 2013년 8월 미코의 정밀세정, 특수코팅 사업부문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물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회사임. 2023년 7월 모회사 (주)미코로 부터 반도체 장비용 세라믹 부품 생산 업체인 (주)미코세라믹스를 인수하여 중간지주사로서 역할하게 됨. 삼성, SK하이닉스, 인텔 등을 주요 거래처로 두고 있으며, 한국, 미국, 중국, 대만, 싱가포르 총 5개국에서 국내외 장비사를 대상으로 사업을 영위함.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2% 증가, 영업이익은 48.7% 감소, 당기순이익은 50.6% 감소. 반도체 업황 부진에도 불구하고 매출실적에 선전하여 전년대비 평이한 흐름을 유지하였으나, 매출원가 및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함. 미코세라믹스 인수를 통해 반도체 소재 및 부품 전문업체로 거듭났으며, 인수 효과로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 예상.
8. 테스(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기업개요
- 테스는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전공정 장비(PECVD, LPCVD, Gas Phase Etch&Cleaning 등)의 제조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함. 2013년 반도체 전공정 장비인 LPCVD와 PECVD의 양산에 성공하였고, 비정질탄소막을 증착하여 신규 PECVD는 반도체 3D NAND 공정에 적용함. 주요 매출 구성은 반도체 장비(PECVD,GPE)와 디스플레이 장비(UVC LED 장비 등)으로 75.88% 이루어짐.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2% 감소, 영업이익은 96.3% 감소, 당기순이익은 77.2% 감소. 장기적으로는 5G, 사물인터넷 (IoT) 등 IT산업의 발달로 반도체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라 반도체 장비산업 역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함. 2019년 NAND 공정으로 확대 공급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비메모리 공정에도 적용되어 향후 매출이 기대되고 있음.
👇 키움증권 조건검색기 만드는법 바로가기👇
9. 한미반도체(삼성 파운드리 관련주)
기업개요
- 1980년 설립후 제조용 장비의 개발 및 출시를 시작함. 최첨단 자동화장비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생산장비의 일괄 생산라인을 갖추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함. 세계 시장점유율 1위인 EMI Shield 장비는 스마트 장치와 IoT, 자율주행 전기차, 저궤도 위성통신서비스, UAM 등 6G 상용화 필수 공정에 쓰이고 있음. 한미반도의 주력장비인 'VISION PLACEMENT'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음.
기업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0% 감소, 영업이익은 83.4% 감소, 당기순이익은 91.1% 증가. 매출액 감소는 파운드리 재고조정이 지속됨에 따라OSAT 고객사들의 투자 축소가 원인임. 하반기에 TC-Bonder 수주금액(9월 416억원, 10월 596억원)를 공시함. 리드 타임을 고려할 때 내년 1분기부터 일부 매출이 반영되기 시작할 것이며 고가 장비임을 고려하면 이익기여가 클 것으로 예상.
반응형
👇 주제별 테마주 바로가기👇
개인적인 생각 및 요약
주가의 흐름은 5일선 20일선 60일선 골든크로스 하였을때 가장 힘이 강하고 급등할 확률이 높습니다. 항상 차트를 주시하시고, 그날 시장의 대장주가 무엇인지 비슷한 테마를 확인해 보면서 매매를 하시면 좋습니다.
글쓴이는 전문가는 아니며, 글에 대한 견해는 매우 주관적입니다. 단순히 차트 만을 보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주식 시장의 이해와는 무관합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항상 투자금을 지키는 매매를 하세요.
다음글과 함께하면 더 좋은 수익을 낼수 있습니다.
👇 테마주 찾는법 보러가기 👇
👇 키움증권 조건검색기 만드는법 바로가기👇
👇 주제별 테마주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 관련주 TOP 11 종목 주가 전망 테마주 수혜주 (0) | 2024.03.09 |
---|---|
모더나 관련주 TOP10 주가 전망 테마주 수혜주 (0) | 2024.03.08 |
동박 관련주 정리 TOP10 | 2차전지 소재주 수혜주 주식차트 (0) | 2024.03.06 |
CXL 관련주 10종목 | 대장주, 테마주 2024 (0) | 2024.03.06 |
HBM 테마주 TOP9 | 대장주, 테마주 2024 (0) | 2024.02.28 |
댓글